본문 바로가기

금융

[투운사] 공부 내용 정리 (6일차)

 

 

1. 채권의 발행형태

- 간접발행 시 인수기관의 위험은 '총액인수, 잔액인수, 위탁모집' 순으로 큼

- 회사채의 경우 매출발행 X

- 무보증사채 발행은 총액인수 방법을 주로 이용(위험부담 적음) 

 

2. 유통시장

- 국채인수의무 : 종목별 매월 경쟁입찰 발행물량의 10% 이상 인수

- IDB : 보유물량 원활히 조절할 수 있게 호가 제시 유도하여 채권중개 투명하게 수행하는 회사 

- 장외거래 : 거래시간이나 조건의 제한 받지 않음

 

3. 채권의 수익률

- 만기수익률 (=채권의 내부수익률) : 현금흐름의 현가와 시가를 일치시키는 할인율

- 1년에 2회이상 이자 지급하는 채권의 경우 실효 연수익률은 만기수익률보다 항상 높게 나타남

- 무이표채 : 재투자 위험 X

- 이표채 : 만기가 길어질수록 재투자 위험 높아짐

- 채권가

 

4. 채권가격 변동성

- 수익률 변동에 대한 가격변동률은 작아지려면

a. 표면 이자율 높을수록

b. 이자지급주기가 짧을수록

c. 동일한 기간에 이자지급회수가 많을수록

 

5. 듀레이션

- 채권의 가중평균 잔존만기로 기업들이 수익률 변동위험을 제거할 때 사용하는 기준점

- 1년에 2회 이상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의 듀레이션은 채권의 만기보다 항상 짧다

- 잔존기간이 3개월 남은 3개월 후급 이표채의 만기와 듀레이션은 동일

- 할인채의 만기는 항상 듀레이션과 동일, 복리채도 동일!

 

6. 수정 듀레이션(MD : Modified Duration)

-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YXc7d54c6Eo 

 

 

7. 채권 볼록성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ldLafYG9Amo 

 

 

 

8. 수익률 곡선

- 우상향 수익률 곡선 : 회복기에 단기채>장기채 선호

- 우하향 수익률 곡선 : 단기금리 > 장기금리

- 수평형 수익률 곡선 : 장/단기채권의 유동성프리미엄 수준 = 수익률 하락 예상폭 / 단기금리 = 장기금리

- 낙타형 수익률 곡선 : 장기적으로 금리가 하향안정이 기대 / 통화긴축으로 시장 위축될 때

 

9. 수익률 곡선 및 선도 이자율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7lw1pptoaVo 

 

10. 기간구조이론

 

- 불편기대이론 : 미래 이자율이 상승될 것이라 예상하면 우상향,  하락할 것이라 예상하면 우하향 수익률 곡선

- 유동성프리미엄가설 : 미래 수익률 일정하더라도, 유동성위험에 대한 대가로 인해 우하향곡선 나타날 수 있음

- 편중기대이론 : 만기가 길어질수록 처음에는 이자율이 상승하나 최고점에 도달한 후 하락하는 낙타형 수익률 곡선 설명

- 시장분할이론 : 시장의 경직성과 투자자들의 다양한 상황에 따라 본인들이 관심을 두고 있는 시장에만 투자하기 때문에 장기채 단기채의 이자율은 관련이 없음 

 

11. 수익률 위험구조

- 약정수익률 = 지급불능 프리미엄 + 무위험수익률 + 위험 프리미엄

- 수익률 스프레드 = 지급불능 프리미엄 + 위험 프리미엄

- 중도상환 위험 : 발행회사가 시장수익률 하락으로 기존에 발행한 채권의 중도상환 요구할 때 투자자에게 발생하는 위험

- 회피 불가 위험 : 이자율 변동 위험, 구매력 위험, 재투자 위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