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금융

[투운사] 공부 내용 정리 (3일차)

 

 

 

1. 증권의 전매가 가능하다고 보는 기준

a. 지분증권 - 같은 종류의 증권이 모집/매출 실적 O or 상장된 경우

b. 지분증권 X - 50매 이상으로 발행되거나 발행 후 50매 이상으로 권면 분할되어 거래될 수 있는 경우

c. 해외에서 증권을 발행 but 국내 환류가능성 있는 경우

d. 예결원과 1년간 증권 인출/매각하지 않기로 한 경우

 

2. 증권신고서의 효력발생시기의 특례

a. 일괄신고서의 정정신고는 수리된 날부터 3일이 경과한 날에 효력 생김

b. 정정신고서 제출 - 수리된 다음 날에 효력 발생

c. 효력발생기간 - 금융위가 신고서 수리하면 접수된 날에 수리된 것으로 봄

 

3. 증권분석기관이 될 수 있는 자

a. 인수업무를 수행하는 자

b. 회계법인

c. 신용평가업자

d. 채권평가회사

 

4. 핵심설명서를 추가로 교부하는 거래

a. 파생결합증권

b. 신용거래융자

c. 유사해외통화선물

(cf. 주식워런트증권은 사전 교육을 받음 - 얘도 위험하긴함) 

 

5. 파생결합증권에서 손실요건 발생한 경우 알려야 하는 것

a. 원금손실조건에 해당되었다는 사실

b. 조기상환조건 및 조기상환 시 예상수익률

c. 환매청구방법, 환매청구기한 및 환매수수료

(cf. 만기 시 예상수익률 X - 함부로 알리는 건 위험함) 

 

6. 일중매매거래(day trading) 위험에 대한 고지 대상의 금융투자상품

a. 장내파생상품

b. 주식

c. 주식워런트증권

(cf. 장외파생상품은 데이트레이딩이 어려움)

 

7. 투자광고

a. 투자권유규제를 적용 X

b. 준법갑시인의 사전 확인 필요

c. 협회의 심사 필요

(cf. 수익률 정보 제공은 광고에서 제외)

 

8. 펀드 운용실적 표시

a. 기준일 현재 펀드가 설정일로부터 1년 이상 지나고 + 순자산총액 100억 원 이상

b. MMF - 기준일로부터 과거 1개월 수익률 표시 (3개월 X)

 

9. 자산배분전략

a. 거시 = 젼략 = top-down = 자산의 배분을 투자자가 정하는게 원칙 

b. 미시 = 전술 

 

10. 전략적 자산배분

a. 위험수익 최적화 방법 : 항상 불안정한 해를 갖는다

b. 다른 기관투자자들의 자산배분을 모방하기도 함

 

11. 전술적 자산배분

a. 시장의 비효율성에 근거하여 시장수익률 대비 초과수익률 지향

b. 역투자전략 - 항상 초과수익 달성

c. 가치평가모형을 이용하여 초과수익을 추구

d. 포뮬러 플랜 : 주가 상승 - 주식매도 채권매수 / 주가 하락 - 주식매수 채권매도